베트남을 다녀온 사람이라면 매우 익숙한 한 장면일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생소한 물건으로 보일 것이다.

Phin(핀) 이라는 알루미늄 드리퍼로 커피를 즉석에서 내려 연유를 섞어 마시는 것이 특징인 베트남 커피는 사실 프랑스에서 유래된 것이다.
현재는 세계 커피 생산 2위를 자랑하지만, 그 품질과 향이 독특하여 아주 유명하지는 않아 그 많은 생산량은 전세계 각국에서 인스턴트 커피나 가공 커피로 소비된다고 한다.

아무튼 베트남 커피 하면 연유가 들어간 진한 커피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실제로 베트남에 가면 동네 구멍가게에서도 살 수 있을 만큼 아주 흔하게 판매하고 있다.

정식 명칭은 Cà phê sữa đá(까페쓰다, 까뻬쓰ㅓ다) 또는 Cà phê sữa nóng(까페쓰농, 까뻬쓰ㅓ농) 이라고 불리운다. 까페쓰다, 까페쒀다 아무렇게나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듣고 아이스커피를 내준다.

Cà phê sữa đá는 아이스 커피를, Cà phê sữa nóng은 따뜻한 커피를 말한다.

단어를 한 번 뜯어보자.

Cà phê = 커피
Sữa = 우유

Đá = 차가운
Nóng = 뜨거운

간단하다. 차가운 우유 커피, 뜨거운 우유 커피.
* 베트남은 우리말과 다르게 수식을 반대로 한다.

왜 연유일까?

보관성에 있다. 연유는 우유에 설탕을 첨가하여 농축한 것이다. 설탕을 넣지 않는 무당연유도 있지만, 가당연유의 경우 설탕이 40%에 육박하는 탓에 보존성이 좋지만, 단 맛이 매우 강하다.
매실짱아찌에서 설탕을 1:1로 섞는 이유는 보존성 때문이다. 과실:설탕의 비율이 1:1이 되면 벌레가 살지 못한다고 한다. 우리는 그런 음식을 먹으며 살고있다.

신선한 원유(Fresh Milk)를 유통하기 위해서는 냉장 체계가 잘 갖춰진 냉장창고-냉장차량-냉장판매대가 필요한데, 이 인프라가 생각보다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부분이다. 더운 나라에서 연유를 선택할 수 밖에 없는 것은 냉장 인프라가 갖춰진 후에도 관리하기 쉬운 장점을 가진다.


Trung Nguyên Legend Café

거리를 걷다 보면 흔하게 볼 수 있는 커피 전문점이다.

위에서 보았던 Phin 을 이용한 드립커피를 내주는 카페로, 가격은 베트남 현지물가를 생각할 때 상당히 높은 가격의 카페다. 지점 마다 가격이 다르지만, 대략적으로 40,000동에서 70,000동 사이. Sáng Tạo 등급이 높은 커피는 100,000동 까지도 올라간다.

Sáng Tạo는 그들의 대표 원두 브랜드로, Sáng Tạo 원두로 내린 커피를 판매하고 있다.

* Ly Tu Trong 매장 기준 (2016년 8월)

비싸게 받으려고 하나하나 의미를 부여해놨다.

생각, 발견, 아이디어, 창조, 성공…

가격이 높기도 하지만, 상당히 고급 카페에 속한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스타벅스 같은 카페가 아니라, 고급 소파와 티테이블이 놓여 있는 자리를 잡고 앉아 있으면 직원이 냉차를 내주며 주문을 받고, 커피를 직접 서빙해 준다.

커피 뿐 아니라 다양한 커피, 차, 아이스크림, 디저트와 간단한 식사를 주문할 수 있다.

메뉴 마다 커피잔과 서비스 되는 방식이 각기 다르다.
핀 색깔이 검은색 또는 은색. 연유가 따로 나오는 것, 연유가 들어 있는 것 등등

커피를 주문하면, Phin과 커피잔, 얼음잔, 연유 등 번잡스럽게 많은 것들을 가져다 준다. Phin에서 커피가 다 내려올 때 까지 기다리면 되는데, 5분 정도?
멍하니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으면 직원이 와서 확인해주기도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면 물이 다 내려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핀을 내려놓고 연유를 넣거나, 이미 연유가 들어 있는 경우는 잘 저으면 된다.
아이스로 시킨 경우, 얼음잔으로 옮겨 담은 뒤 마시면 된다.

그들이 판매하는 커피 Sáng Tạo의 원두는 매장에서도 구입할 수 있다. 1-8까지 준비되어 있으며, 최상급 Legend 제품을 Legend한 가격에 판매하고 있다.

계산은 후불이다.

전통 보다는 캐쥬얼

한방울 한방울 떨어지는 것을 기다리지 못하겠다면, 테이크아웃 커피 전문점을 추천한다.

우리가 흔히 마시는 아메리카노, 에스프레소를 판매하는 커피 전문점에서도 이 연유커피를 팔고 있는데, Phuc Long 이나 Highlands 카페는 우리가 흔히 접하는 스타벅스와 크게 다르지 않은 주문 방식을 가지고 있다.

Phuc Long은 똑같이 ‘카페쓰다’, 하이랜드는 Phin Sữa Đá (핀쓰다) 로 주문하면 된다. 그냥 ‘카페쓰다’로 얘기하면 다 주문 된다. 가격은 30,000동 이내.

이름은 Phin Sữa Đá 라고 팔면서, 미리 내려놓은 커피에 연유를 섞어서 내준다. 사실 이 방식이 대부분의 테이크아웃 전문점이나 슈퍼 등 커피를 파는 곳에서 커피를 제조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빠르다!

분위기와 간편함을 함께 즐길 수 있는 힙한 카페도 있다. Cộng Cà Phê 라는 곳이다. 이미 한국에도 지점을 낼 만큼 코코넛 커피 스무디로 유명한 곳으로 외국인이 바글바글하다.

매장 마다 외관이 다르고, 내부도 개성 있게 꾸며 놓았다. 사실 힙한 정도는 아니지만, 밋밋한 쯍웬커피 보다는 베트남 느낌이 조금 더 강한 느낌의 내부 장식이 기존의 카페들과는 다른 기분을 선사한다.

사이공과 하노이 커피를 소개하고 있다. 실제로도 문화나 음식 문화가 조금 다르지만, 저기서 표현하고 싶은 것은.. 아이스와 따뜻한 음료다. 하노이와 사이공은 농도의 차이가 있다고 한다. 사실 나는 잘 모르겠더라..

이 글에 소개하지 못할 만큼 분위기 좋은 카페는 많다. 나중에 굉장히 분위기가 좋은 카페들을 따로 소개해 보겠다.

호텔 조식에서는 베트남 커피가 무제한 무료

애초부터 저렴한 커피지만, 호텔 조식에서도 제공이 된다. 호텔에 따라 베트남 커피만 제공이 되거나, 남미 원두 풍의 ‘일반’ 커피까지 모두 제공되는데, 대체로 베트남 커피는 거의 제공되고 있었다.

처음부터 두개의 주전자에 ‘Vietnamese Coffee’와 ‘Vietnamese Coffee with Condensed Milk’로 제공되는 곳도 있지만, 블랙만 제공되는 곳도 있었다.

블랙만 제공하면서 연유를 내놓지 않은 호텔이 종종 있었는데, 직원에게 연유를 요청했을 때, 없다고 말하거나 거절 당한 적이 한 번도 없다.

매번 어디서 연유 깡통을 들고 나와 내 잔에 가득 따라주곤 했다.


유당분해효소결핍증

우유나 연유가 싫다면, Cà phê đen을 시키면 된다.

취향에 따라 Đá 또는 Nóng 을 뒤에 붙이면 된다. Đen은 검은색을 의미하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블랙커피가 아니라, 설탕커피다.

베트남에서 설탕이 들어가지 않는 블랙커피를 찾는 것도 쉽지 않다.

베트남 커피는 다크 로스팅으로 굉장히 쓰기 때문에, 무언가 첨가물을 넣지 않는 다는 것을 상상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생크림, 요거트….. 계란???????????? 등을 넣는 커피도 있다고 한다.


가짜가 나타났다

위에서 말한 것 처럼 식당, 슈퍼, 휴게소 등등에서도 카페쓰다를 주문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자판기가 도입되면서, Phin으로 내려주기는 커녕 미리 내려놓은 커피도 아니고, 자판기 버튼을 눌러 인스턴트 커피에 얼음을 넣어주는 가게들이 부쩍 늘었다. 봉지커피를 타주는 것 보다는 자판기 버튼을 누르는게 조금 더 고급스럽다는 것은 심각한 판단의 오류가 아닌가 생각된다.

로부스타 같은 베트남 전통 원두와 뻔한 연유를 섞어 어디를 가도 비슷한 맛을 느낄 수 있었던 예전과 달리 자판기 카페쓰다는 맛의 편차가 존재한다. 게다가 인스턴트 특유의 텁텁한 뒷맛까지 선사한다.

가격은 진짜 카페쓰다와 비슷하게 10,000-30,000동 수준이다.


0개의 댓글

답글 남기기

Avatar placeholder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